아주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생물의 분류.
------------------------------------------------------------(60)
과학자들은 전세계에 적어도 천만여종의 생물이 있다고 말한다. 그들은 이를 더 잘 파악하기 위하여 '분류' 를 하였는데, 일반적으로 생물 분류학자 휘태커가 제안한 5계 ( 5 kingdom ) 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5계 체계에 따라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은 원핵생물계, 원생생물계, 균계, 동물계, 식물계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것은 생물의 외부형태나 내부구조, 생식 방법, 발생 과정 등 그 생물만이 가지는 고유한 특징을 기준으로 한다.
1. 원핵 생물계
(이미지 출처: 위키백과)
위의 사진은, 원핵생물계 중 하나인 결핵균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세균' 이라 불리는 생물 무리로 세포내에 핵 구조를 갖고 있지 않다. 세균은 여러 가지 분류 기준을 가지고 분류하는데 분자적 특징에 근거하여 ,크게 진정세균과 고세균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왼쪽의 사진이 고세균이다. 고세균은 지구상에서 최초로 출현한 생명체라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진화에서는 중요한 의미를 띄고 있다. 이들은 핵이 없으며 세포벽은 있으나 다른 종류의 세균처럼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 으로 이루어져 있지는 않다. 또한 이들은 단백질 합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오른쪽의 사진은 진정세균이다. 일반적으로 '박테리아'으로 일컬어지는 무리로써 고세균과는 다른 종류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벽과 세포막이 있으나 핵은 존재하지 않고 편모와 섬모는 가지지만 진핵생물과는 달리 플라젤린 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2. 원생생물계
원생생물계는 식물과 동물로 완전히 분화되기 이전 단계의 핵이 있는 단세포 생물과 그 직계 다세포생물을 통틀어 원생생물이라고 한다. 이들은 핵구조를 가지는 진핵세포로 되어있으며 일반적으로 단세포성 구조를 가지고 있다. 원생생물은 크게 원생동물, 조류, 점균류 및 물곰팡이그룹으로 분류한다.
![]() |
이미지 출처: 네이버 캐스트 |
① 원생동물
단세포 동물의 총칭으로 연두벌레와 같이 편모로 이동하는 편모류, 짚신벌레 등 섬모로 이동하는 섬모류, 다른 생물에 기생생활하는 포자충류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번식은 분열이나 출아 와 같이 무성생식을 하나 접합과 같이 유성생식의 경우도 있다.
② 조류
물 속에서 생육하며 광합성에 의해 독립영양생활을 하는 체제가 간단한 식물을 말한다. 조류는 엽록소 a와 b 그 밖의 다른 광합성 색소를 가지고 광합성을 하지만 후천적으로 엽록소가 소실되어 독립적으로 영양을 얻을 수 없는 종류도 있다. 이들은 1차 생산자로서 지구에 발생하는 광합성량의 약 30~40% 를 차지하고 있으며 단세포 또는 간단한 다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전 세계적으로는 약 30,000 여 종이 있다고 알려져있다.
③ 변형균류 및 물공팡이류
변형균은 점균 또는 나균이라고도 하며 그 특징은 균체가 원형질막에 싸여 있고 포자나 자실체 이외에는 세포벽이 없으며 아메바 모양으로 먹이를 포식하는 것이다. 변형균류는 원생동물과 비슷한 변형체가 나타나는 특이한 생활사를 갖는 생물군으로 균류와 동물의 중간적 형질을 띄고 있다. 변형균류에는 약 500종 정도가 포함되어 있다.
3. 균계
균계는 우리 주변에서 먹거리로도 사용되는 버섯을 비롯하여 곰팡이 등을 포함하는 생물 그룹으로 진핵세포 구조를 가지며 종속 영양 생물체이다. (사실, 세균과 남세균을 제외한 모든 동식물 생물군이 진핵세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식물세포와는 달리 세포벽 성분은 키틴으로 되어있으며 자연 생태계에서 분해자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① 접합균류
영양체는 균사체이며 기본적으로 격벽이 없다. 접합포자라는 유성휴면포자를 만든다. 균사는 다핵이며 세포벽은 키틴으로 구성되어 있다.
② 자낭균류
유성생식을 하는 균류 중 가장 큰 강으로 3만 종 정도가 알려져있다. 포자가 자낭이라고하는 작은 주머니 안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자낭균이라고 불리운다. 균사는 항상 가로막을 가지고 있으며 가로벽에 구멍이 나 있어 원형질이 균사 세포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③ 담자균류
영양체는 잘 발달된 다세포인 균사체이며 세포벽은 주로 키틴과 글루칸으로 이루어진다. 현재 25,000 여 종이 알려져 있으며 버섯의 대부분이 여기에 포함된다. 자낭균강의 자낭과 비교되게 담자기라는 포자낭을 만들어 담자균류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각 담자기는 커져서 곤봉 모양의 균사세포가 되고 균사세포의 말단 부위에 4개의 담자포자가 생긴다. 여기서 특별히 주목해야 할 것은, 자낭포자는 자낭의 내부에 포자가 생기는 반면 담자포자는 담자기의 외부에서 생성된다는 것이다. 영양체는 자낭균류와 비슷하다.
4. 식물계
식물은 세포벽이 있고 엽록체가 있어 광합성을 하는 독립영양생물이다. 식물은 광합성 색소로 엽록소 a, b 와 카로티노이드를 가지며 세포벽은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져 있다. 대부분의 식물은 크게 뿌리, 줄기, 잎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 역할을 가지고 있다. 뿌리는 식물을 지탱하고 양분을 얻는다. 줄기는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 양분, 잎에서 합성한 유기양분을 운반한다. 잎은 광합성을 하고 기공을 통하여 호흡작용, 증산작용을 한다.
5. 동물계
동물은 진핵세포로 이루어진 다세포성 생물이며 식물세포와는 달리 세포벽을 갖지 않는다. 동물은 엽록체가 없어 스스로 양분을 만들지 못하는 종속영양생물로 섭취한 먹이를 소화하기 위해서 기관계가 발달한다. 대부분의 동물은 신경계, 소화계, 생식계, 근육계 및 배설계를 갖는다.
(식물계와 동물계에 대해서는 다른 계시물로 자세히 쓰겠습니다.)
------------------------------------------------------------(60)
후담: 쓰고 나서는 가뿐한 느낌이 들기도 하고, 생물의 분류에 대해서 알아보면서 몰랐던 사실도 알게 된 계기가 되서 기쁘기도 하고, 고단한 작업이어서 피곤하기도 합니다...ㅎ . 아 그리고 조사 중에 유용한 페이지들을 알게되어 더더욱 기쁩니다. 이제 쉬러 가야죠 ^^..
내용이 알짜배기만 다 있어서 좋아요
답글삭제잘 배우고 갑니다~
내용이 자세하고 머리에 쏙쏙 들어오게 정리되어 있어서
답글삭제참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