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

2011년 4월 1일 금요일

[2011.04.01] Thinking Physics; 비가 오는 날에는..

작성 - 2011.04.01
복습 -

Blogger's Comment

사실, 이 제목은 재미있는 물리여행의 원제에서 따온 것인데요, 정말 마음에 드는 제목이에요

생각하는 물리. 물리를 생각하는 것이야 말로 정말 멋진 것 같아요 ( 덜덜.. 절대 거짓말이라고 말할 수 없어요 ㅠㅠ)

----------------------------------------------------------------------(70)

 리는 흔히 계산이나 수식으로 이루어진 딱 잘라 말해 '복잡한 과목' 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물리란 우리 주위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들에 대해서 합리적으로 쉽고 간단하게 이해하려는 노력에서 나온 것으로, 계산보다는 [생각]이 더 중심이 되는 것입니다.

(재미있는 물리여행, 추천의 글 중.. 약간 수정)

그래서 저는 이 [Thinking Physics] 에는 다른 카테고리와는 달리 제가 검색이나 책을 통하여, 아니면 친구나 다른 매체를 통하여 본 인상적이고, 생각을 가질 만한 문제를 여기 올리려고 합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 문제를... !


 1. 길을 걷고 있는 도중 비가 내립니다. 우산이 없는 저는 달리려고 합니다. 그런데 정말로 달리면 비를 적게 맞는 것이 확실할까요? 걷는 것과 달리는 것 중 어느 것이 비를 덜 맞는 선택일까요?

 나의 생각 : 달릴 때는 맞는 비의 양은 많지만 시간은 더 적게 걸린다.
                     걷는 경우에는 맞는 비의 양은 달릴 때 보다 적지만 시간은 더 많이 걸린다..
                     비슷하지 않을까?

그리고 나서, 정답을 읽어 보았는데요, 정말 체계적으로 계산했더라구요; 제가 생각한..게 너무 초라해 보였던...

 정         답 :  현재 비를 맞고 있는 사람의 속력을 v 라고 하자. 1초당 1m2 에 내리는 비의 양을
                     M, 이동거리는 s, 사람의 윗면적을 S1 사람의 앞면적을 S2 라고 한다. 사람의 윗면
                     적이 맞는 비의 양은 윗면적(S1) * 경과시간(t=s/v) * M(단위시간당 단위 면적이
                     맞는 비의 양) 에 비례한다.
                    
                      결과적으로, 맞는 비의 양은 v(속력) 에 반비례한다.

                      앞면이 맞는 비의 양은 S2 * t(s/v) * M v 이므로

                      속력과는 관계없이 같은 양의 비를 맞게 된다.
                      
                       결국, 앞면의 경우 뛰어가나 걸어가나 맞는 비의 양은 같지만 윗면적은 걸어갈
                      때 비를 더 맞게 되므로 뛰어가는 것이 비를 덜 맞게 된다.


후담. 윗 면적과 앞 면적 까지 생각한... 이거 대단한 문제 같아요~ 사실, 평소에도 궁금했던 문제네요... 제 친구는 항상 뛰어가지말라고 비 똑같이 맞는 다고 했는데... 이런~ㅋ

[2011.04.01] TED : Steven Johnson's Where Good Ideas Come From

학습일: 2011.03.11
복습일: 2011.04.01

 Blogger's Comment 

 금요일이라 학원 안가고, 심심하지만..? 공부를 해야 해서 강의나 들을까 해서 컴퓨터를 켰습니다.

 그런데, 저번 <첨단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효과적인 학습전략> 강연에서 임 교수님께서 추천해주신 TED 가 저의 눈에 띄길래 강의를 들어보았지요 정말 흥미롭더군요. 앞으로 많이 활용해야겠습니다.

---------------------------------------------------------------------- (70)

 Where Good Ideas Come From (좋은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오는가)

강연 _



강의 내용 _
  스티븐 존슨 박사는 좋은 생각은 사람들이 많은 곳 , 커피숍과 같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 아이디어가 잘 떠오른다고 한다. 실제로 사람들이 모여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나누고 토론하면서 아이디어들이 모여 더 참신한 아이디어를 만든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그는 이 주장에 대한 근거로 한 사례를 들었는데, 어떤 케빈 던바라는 학자가 어디에서 좋은 아이디어가 나오는 지 알기 위해서 실험실에서 연구하는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일상을 녹화 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사람들이 생각하는 - 실험실에 혼자서 연구하고는 유레카! 라고 하는 것 - 과는 달리 점심시간에 동료들과 이야기를 나눌 때가 더욱 질 좋은 아이디어가 나온 다는 것이었다.
 또, 존슨 박사는 , 다윈의 자연선택설을 예로 들며, 아이디어는 갑자기 떠오르는 것이 아니라 천천히 오랫동안 생각해진것이 모아져 나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느낀점 _
 존슨 박사가 주장한 바에 따르면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에서 좋은 생각이 잘 떠오른다고 하는데, 나의 경우에는 혼자있을 때, 혼자 고민하고 사색에 잠겼을 때 더 잘 떠오르는 것 같다. 하지만 연구결과가 이렇다니까.. 친구들과 이야기할 때 아이디어가 잘 나오는지 확인해봐야겠다.
 그리고, 다른 주장 - 오랫동안 생각한 것이 모여 떠오르는 것 - 에 맞추어 나의 아이디어 노트를 하나 만들까 한다. 좋은 생각은 전부터 계속 연결된 것이라고 하지 않는가? 그럼 나도 그 때 그 때 떠오르는 생각을 적어놓고 미래에 필요할 때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사실 이것은 학년부장 선생님(기술가정) 말한 것과 동일하다. 그래서 더 신뢰가 간다.)
 

4월 1일, 학생회 과학부장 임명 및 학급회장 임명

3월 10일날, 반장선거 때가 기억납니다

" 안녕하세요. 00번 000 입니다. 어... 제가 잘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뽑아주신다면 열심히 우리반을 위하여 봉사하겠습니다"

라고 했던것 같군요....

그리고 30일 후, 학교에서 잠시 집합명령이 내려왔습니다.

모여서, 몇가지 반장부반장 주의사항을 듣고 다시 올라왔는데요, 그 날 학생회 임원을 뽑았더라구요.. 전 뭐가 됬는지 잘 몰랐지만...

그 로부터 2일 후 ㄷㄷ

과학부장이 됬다네요; 헐~~  (사실.. 과학부장이라는 직책이 있는지도 몰랐습니다 ㅠㅠ;)



아래는 임명장입니다



어쨋든, 2011년 4월 1일부터 과학부장으로 임명된 이상!

우리학교의 과학발전을 위하여 최선을 다할 것을 선서합니다!
또한, 학생회 임원으로서 충실히 임무를 수행할 것을 맹세합니다!

                                                                                                       2011.04.01 작성
                                                                                                       ~ 졸업식 날까지 유효


4/2... P.S 반장 임명장도 나왔습니닷! 반을 위해 열심히 봉사해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