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발명품을 생각하고 계획하는 것도 참 재미있네요 ^^... 시간이 좀 더 있었더라면 좋았을텐데... (원본 입니다. 수정 계획 중)
----------------------------------------------------------------------------------------------------(100)
작품명 :
1. 제작동기: 초등학교 때 과학 수업 중, 우리 몸 속 구조와 기관에 대해서 학습한다. 그러나 여러가지 기관들의 정확한 위치와 부연 설명, 무엇보다도 학습하면서 재미를 느낄 수 없었다.
2. 제작 목적: 을 통하여.....
가. 우리 몸 속에 있는 여러가지 기관들의 정확한 위치와 그에 대한 설명을 알
수 있다.
나. 학습하면서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다. 우리 몸의 소중함을 알 수 있다.
3. 제작 단계
가. 사전 탐구 단계
1) 인터넷을 통하여 유사 작품 검색
º 국립 중앙 과학관 : http://www.science.go.kr/
우리 몸과 관련된 다른 작품들은 찾았지만, 스위치를 닫아 led가 켜지며 우
리 몸에 대해서 설명해주는 발명품은 없었다.
[그림 1] 국립중앙과학관 인터넷 검색 자료 화면
나. 관련 이론 탐구
1) 우리 몸의 구조와 기관
우리몸은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뼈와 근육, 소화기관, 호흡기관, 순환기관, 배설기관이 그 5가지 이다.
뼈와 근육 - 뼈는 몸을 지탱해주는 지지의 역할도 하고, 또 신선한 혈액을 만드는 역할을 하기 도 한다. 근육은 뼈와 같이 수축과 이완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게해준다.
소화기관 - 소화기관에는 입, 식도, 위, 장 등이 있는데, 이들에서는 각각의 소화액들이 나와 음식물을 잘게 부수어 흡수 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호흡기관 - 여기서 말하는 호흡은 외호흡 즉, 우리가 숨쉬는 호흡을 말한다. 숨을 들이마쉬고, 내쉬는 것은 폐 뿐만이 아니라 횡경막과 늑골의 역할로 숨을 쉬는 것인데, 횡경막과 늑골은 호흡기관으로 치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들어온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는 데에 있다.
순환기관 - 호흡기관에서 받아들인 산소와 소화기관을 통해 나온 영양분을 온몸으로 운반한다. 운반 뿐만 아니라 세포호흡(내호흡) 후 생긴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처리 기관으로 보내는 기능도 한다.
배설기관 - 순환기관에서 운반해온 노폐물을 처리하는 곳이다. 대표적으로 신장이 있는데, 신장 속에 있는 보먼 주머니를 통해 노폐물이 걸러지면 몸밖으로 배출되는 형식이다.
4. 작품 설명
가. 최종 작품
인체 모형에 LED 와 설명해주는 소리코드를 부착시켜 해당 스위치를 켰을 때, 그 기관
에 불이 들어오고, 그에 대한 설명이 나오게 된다.
나. 효과
우리 몸에 대하여 기관의 정확한 위치와 특징을 알 고, 재미와 흥미를 가지고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우리 몸이 소중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 네티켓을 지키겠습니다. "